본문 바로가기

프로그래밍 언어

[Python] Tuple 개념/ 생성/ 데이터 억세스: tuple() Tuple - 튜플은 괄호안에 콤마를 사용한다. ㄴ ex) 변수 = ( a, b, c ) ㄴ 괄호 안에 원소가 하나이면, 튜플로 생성이 안된다. ㄴ 튜플을 표시하려면, 두번째 데이터는 없더라도, 괄호 안에 콤마를 반드시 넣어야한다. ex) my_tuple = (1, ) - 기본 사용법은 리스트랑 같은데 데이터 추가/ 삭제/ 변경이 안된다!! - 문자() -> 함수, - () 이건 그냥 튜플 Tuple 생성 - 생성법1 : 그냥 괄호만 쳐준다. () - 생성법2: 튜플 함수를 이용하여 생성한다. tuple() - 소괄호를 사용 안해도, 콤마로 여러개 데이터를 나열하면 자동으로 튜플로 생성된다. ex) my_tuple = 100,500,'hello',3.5 Tuple 데이터 억세스 - 리스트와 같다. 더보기
[Python] Data Structure 파이썬 내장함수 sum(),max(), min() 파이썬 내장(자체)함수 sum(변수명): 모두 더하는 파이썬 함수 max(변수명) : 최대값 구하기, min(변수명): 최소값 구하기. 데이터가 많은 경우에 많이 쓰인다. -> 데이터스트럭쳐 구조에서 많이 쓰인다. List, Dictionary, Tuple, Set dictionary 같은 경우, 키값/밸류값만 사용하여 숫자로 결과가 나올 때, 리스트화 하여 해당 데이터에서 총합/최대값/최소값을 구하는 함수를 사용하면 된다. 평균값은 파이썬 자체 함수가 없다. 현재로써 간단하게 사용하는 방법은 총합/데이터 개수로 사용하면 된다. -> sum(변수명)/ len(변수명) -> ex) sum(my_salary_list)/ len(my_salary_list) 더보기
[Python] Booleans - Boolean 은 다음 2가지의 오브젝트로 나타낸다. "False" and "True". - 숫자 0과 1과 같은 의미이다. 더보기
[Python] Dictionary 키/밸류/아이템 값 억세스, 데이터 체크: keys(),values(),items(), in Dictionary 키/밸류/아이템 값만 가져오기 : 변수명.Keys() , 변수명.Values(), 변수명.items() ㄴ 리스트 만들기: 타입 변환을 주면 된다. ex) list(데이터 스트럭쳐 변수명) Dictionary 데이터 존재여부 확인 : 데이터 in 변수명 - 기본 원리는 스트링/리스트와 비슷하다. - 딕셔너리에서 Key는 존재하는 지 체크 가능하나, Value는 체크 불가하다. ex) 더보기
[Python] Dictionary 데이터 추가/변경/삭제/합치기: del, clear(),update() 함수 Dictionary 데이터 추가 : 변수명[ 키 값 ] = 밸류 값 - 맨 뒤에 추가 된다. Dictionary 데이터 변경 : 변수명[ 존재하는 키 값 ] = 밸류 값 리스트와 원리는 같다. Dictionary 데이터 삭제 : del 변수명[ 존재하는 키 값 ] ㄴ 모두 삭제(Dictionary,List 사용가능): : 변수명.clear() 다수의 Dictionary 데이터 합치기 : 딕셔너리 변수명.update(합치고자 하는 딕셔너리 변수명) ㄴ 리스트처럼 연산이 되지 않아, 함수를 사용하여야한다. 더보기
[Python] Dictionary 생성법, 데이터 억세스: { }, get 함수 Dictionary 생성법 - 생성법1 dict() - 생성법2 중괄호로 시작, 중괄호로 끝 { } Dictionary 구성: - key: Value 로 이루어져 있으며, 이 모두를 묶어서 item이라고 부른다. - 아이템의 왼쪽 : Key 키 라고 부른다. - 아이템의 오른쪽: Value 밸류라고 부른다. Dictionary 데이터 억세스 : 변수명{}, 변수명.get(키값) - 기본적인 데이터 억세스는, 변수명 오른쪽에 대괄호를 사용! - 딕셔너리 데이터 억세스, 인덱스가 아니라, 키로 억세스 한다. - 딕셔너리의 경우는, 데이터 억세스 할 수 있는 함수도 제공한다. get함수 억세스 할 때, 없는 값을 입력하면, 에러가 난다. 변수명.get(‘찾고자 하는 키값) -> 해당 값이 존재할 경우, 해당값.. 더보기
[Python] List 데이터 가르키는 * - 많이 사용은 안하나, 알고는 있어서 나쁘지 않을 * - 리스트에서 각 변수로 대입시에 각 하나씩만 대응이 가능한데, *표시를 쓰면 앞뒤 나머지 부분을 가르키는 의미로 쓰인다. a, b, *c = [0, 1, 2, 3, 4, 5] ㄴ a = 0, b = 1, c= 2, 3,4,5 -> *표시는 나머지를 뜻한다. scores = [8.8, 8.9, 8.7, 9.2, 9.3, 9.7, 9.9, 9.5, 7.8, 9.4] *valid_score,a,b = [8.8, 8.9, 8.7, 9.2, 9.3, 9.7, 9.9, 9.5, 7.8, 9.4] print (valid_score) a,b 같이 버릴 변수는 _로 사용 가능하다. 의미 없는 변수라는 뜻. scores = [8.8, 8.9, 8.7, 9.2, 9... 더보기
[Python] 문자열 함수: join() - 문자열의 함수임. - 리스트에서 사용할 경우, 리스트에 있는 데이터를 하나씩 가져와서, ‘ ‘. join(리스트 입력) -> ‘’ join ()괄호안에 들어가있는 데이터를 따옴표 안에 있는 스트링으로 분리해준다. (보충 설명 추가 필요) 더보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