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프로그래밍 언어/Python

[python] 문자열 함수, upper(), lower(), title(), split()

반응형

- 문자열은 기본적으로 큰/작은 따옴표와 같이 쓰인다. 

- 기본적으로 파이썬이 알아서 판단해준다.

- 문장 안에 큰/작은 따옴표가 있을 경우, 앞 뒤로 각각 상이한 따옴표를 적으면 된다. 혹은 문장 안에 있는 따옴표 앞에 역슬래시 부호(\)를 넣으면 된다.

ex) I'm a Korean -> "I'm a Korean"

ex) I'm a Korean -> 'I\'m a Korean'

 

- 파이썬은 기본적으로 한줄에 하나의 명령어인데,

줄을 바꾸어서 문자열을 저장하고 싶으면, 큰/작은 따옴표 3개를 연이어서 사용해준다.

문장의 처음과 끝 큰/작은 따옴표 각 3개.

- \n은 줄 바꾸기라는 뜻

- 문자간에도 연산이 가능하다. 

 

[문자열 함수]

변수이름.upper() : 대문자로 바꿈.

변수이름.lower() : 소문자로 바꿈.

변수이름.title(): 앞글자만 대문자로 바꿈.

대소문자를 사용하는 것은, 검색을 위해서. 컴퓨터가 검색을 해서 매칭을 위하여 소문자로 변환하여 검색을 함. 

 

변수이름.split() : 공백을 기준으로 문자를 자름.

변수이름.split('t') : 괄호 안에 있는 글자(ex: 't') 기준으로 문자를 나눔.

변수이름.split('tc') : 괄호 안에 있는 글자(ex: 'tc') 기준으로 문자를 나눔.

-> 기준이 되는 글자는 나뉘었을 때 보여지지 않는다.

 

반응형